장독대뉴스 - "직접 담은 한국 된장은 냄새가 강하지 않고 맛있었습니다" 일본인 요리선생 와카코

  • 맑음의령군26.1℃
  • 맑음합천26.2℃
  • 구름조금금산25.6℃
  • 맑음고창군26.0℃
  • 구름많음영덕24.6℃
  • 맑음고산28.2℃
  • 구름많음대전23.5℃
  • 흐림서울23.6℃
  • 박무흑산도25.8℃
  • 구름많음철원22.4℃
  • 맑음거창24.1℃
  • 맑음산청25.2℃
  • 맑음김해시26.6℃
  • 맑음진도군26.0℃
  • 맑음양산시28.0℃
  • 흐림서산23.2℃
  • 박무인천23.1℃
  • 구름많음동두천22.3℃
  • 맑음거제26.9℃
  • 맑음밀양28.5℃
  • 맑음진주26.3℃
  • 맑음통영26.9℃
  • 구름많음인제22.6℃
  • 맑음북창원27.9℃
  • 구름많음울진23.1℃
  • 맑음여수26.6℃
  • 맑음울산27.1℃
  • 맑음광양시26.7℃
  • 흐림서청주23.0℃
  • 흐림제천21.3℃
  • 흐림천안23.1℃
  • 구름조금군산26.8℃
  • 구름조금청송군22.9℃
  • 흐림동해24.1℃
  • 맑음완도26.5℃
  • 맑음해남26.6℃
  • 맑음전주27.2℃
  • 맑음보성군25.5℃
  • 구름많음의성24.4℃
  • 맑음순창군25.6℃
  • 맑음추풍령23.7℃
  • 흐림이천22.3℃
  • 흐림북춘천22.6℃
  • 흐림정선군21.5℃
  • 맑음강진군26.4℃
  • 흐림영주22.2℃
  • 구름많음세종23.3℃
  • 맑음영광군26.3℃
  • 맑음경주시26.5℃
  • 구름많음파주21.7℃
  • 맑음북부산28.1℃
  • 구름많음서귀포28.4℃
  • 맑음목포27.6℃
  • 구름많음안동24.0℃
  • 구름많음보은22.6℃
  • 흐림청주24.8℃
  • 흐림속초26.3℃
  • 흐림보령23.6℃
  • 흐림태백21.3℃
  • 맑음남해27.2℃
  • 흐림홍천22.4℃
  • 맑음남원25.3℃
  • 흐림원주22.7℃
  • 흐림강릉27.3℃
  • 맑음함양군24.7℃
  • 구름조금영천24.4℃
  • 맑음부산27.5℃
  • 맑음정읍26.7℃
  • 맑음성산27.3℃
  • 맑음임실24.3℃
  • 흐림수원22.8℃
  • 맑음장흥25.0℃
  • 흐림북강릉24.9℃
  • 흐림백령도23.1℃
  • 흐림영월21.5℃
  • 흐림대관령20.2℃
  • 천둥번개홍성23.1℃
  • 맑음고창26.7℃
  • 맑음고흥25.7℃
  • 맑음순천24.0℃
  • 흐림춘천22.3℃
  • 맑음포항27.6℃
  • 맑음제주28.9℃
  • 구름많음울릉도26.4℃
  • 맑음장수22.4℃
  • 흐림양평22.0℃
  • 맑음대구27.2℃
  • 구름많음문경23.1℃
  • 흐림봉화21.5℃
  • 흐림충주22.3℃
  • 구름조금구미26.3℃
  • 구름많음상주24.7℃
  • 맑음부안26.4℃
  • 맑음광주27.3℃
  • 구름많음강화22.6℃
  • 맑음창원26.7℃
  • 구름많음부여23.7℃

"직접 담은 한국 된장은 냄새가 강하지 않고 맛있었습니다" 일본인 요리선생 와카코

김제니 기자 / 기사승인 : 2024-03-19 20:28:44
  • -
  • +
  • 인쇄
일본인 요리전문가가 경험한 한국의 장담그기 이야기

한국 된장은 콩으로 만든 메주, 소금, 물만으로 만들지만, 일본 미소는 여기에 밀과 보리 등이 들어간다. 때문에 된장이 구수한 맛이 난다면, 미소는 보다 연한 단맛이 난다. 한국의 된장과 일본의 미소는 한일 양국의 문화처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이 차이가 한국에서 15년째 일본요리를 하고 있는 일본인 캇치 와카코(海苔弁) 씨가 한국의 장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 이유다. 와카코 씨는 지난 11일 서울 정동에 위치한 에그피알에서 장 담그기를 함께 하고 이에 대한 경험과 한국의 장담그기를 소개하는 글을 써서 장독대뉴스에 보내왔다. 

 

서울 정동 베란다에서 진행된 장 담그기에 참여한 캇치 와카코 일본 요리전문가 (정면을 보고 있는 2명 중 왼쪽)

 

아래는 구글번역기로 진행한 한글 번역본이다.

 

이번에는 한국의 된장인 '된장만들기를 보여주신다고 해서 EGG PR의 사무실에 방문했습니다.

 

된장은 먼저 콩을 삶아 으깨고 건조시켜 곰팡이가 슨 메주를 만듭니다그것을 소금물에 담가 야외에서 장독에 보관하고 2개월 정도 숙성시킨 후 메주를 풀고 걸쭉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 다음 액체와 고체로 나누는 공정을 거쳐 간장과 된장으로 만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번에는 메주를 씻어 소금물에 담그고 뚜껑을 닫는 곳까지 견학했습니다일본에서는 된장이 아니라 간장을 만드는 과정과 비슷한 것 같았습니다누룩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붙은 곰팡이로 발효를 촉진하기 때문에 집집마다회사마다 맛과 향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잘 알았습니다.

 

제 개인의 의견이지만한국의 된장 간장은 발효 냄새가 강해서 별로 잘하지 못했지만나눠주신 된장을 가지고 가서 된장찌개로 해봤는데 냄새가 강하지 않고 아주 맛있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다음 번에는 메주를 푸는 과정을 보여주신다고 하니 기대 많이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초대해주신 홍순언 대표님 감사합니다귀중한 체험이 되었습니다.

 

소금물 독에 메주를 넣기 전에 메주를 짚으로 씻는 모습

 

다음은 캇치 와카코 씨가 보낸 일본어 글  전문이다.

 

この度は韓の味である「テンジャン」造りを見せていただけるということで、EGGPRの事務所にお邪魔してきました。

テンジャンは、まず大豆を茹でてつぶし、乾燥させわざとカビを付けた味玉を作ります。それを塩水につけ、野外で甕に保管→熟成、2か月程度ってから、味玉をほぐし どろどろのペストにしてから、液体と固体にに分ける工程をて、カンジャン(油)とテンジャン(味)にするということでした。

今回は味玉を洗って塩水に漬け、蓋を閉める所までを見させていただきました。

日本では、味ではなく油を作る過程に似ているようでした。

を使わずに自然についたカビで酵を促すため、家ごと、社ごとに味や香りに大きな違いが出るのがよくわかりました。

私個人の意見になりますが、韓のテンジャンカンジャンは酵臭がく、あまり得意ではなかったのですが、分けていただいたテンジャンを

持ちり、テンジャンチゲにしてみましたが、においがくなく大おいしくいただけました。

次回は味玉をほぐす過程を見せてくださるそうですので、しみに待ちたいと思います。

ご招待してくださったホン代表、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貴重な体になりました。

 

일본 가정식 요리 교실을 준비 중인 캇치 와카코 요리전문가

 

와카코 씨는 4월 진달래가 필 무렵 진행될 에그피알의 장가르기 행사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김제니 장독대뉴스 기자 jennykim.jdd@gmail.com

[저작권자ⓒ 장독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제니 기자
김제니 기자
기자 페이지

기자의 인기기사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